1. 국내 규제 및 상용화 분위기 본격화
국토부 주도로 ‘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제도’ 시행 지역이 확대되며, 판교·충청·광주·대구·세종 등에서 자율차 유상 운행 실증이 진행 중이다.
레벨 4 수준의 무인 셔틀, 청소·물류차량 등도 제한된 구역에서 상용 운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.
2. 국책 R&D·실증 강화
2021년부터 산업부·국토부·과기부 등이 공동 추진 중인 ‘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’에는 53개 세부 과제와 11조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 중이다.
차량, ICT, 도로교통 인프라 간 융합 기술을 중심으로 고도화된 레벨 4 자율주행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.
3. 글로벌 기술 격차 및 대응 전략
미국·유럽 주요 자율주행 스타트업 및 제조사는 이미 수백만 km 주행 데이터 확보를 통해 레벨 3~4 기술을 상용 단계로 끌어올리는 중이다.
국내는 아직 레벨 2 수준이며, 실 도로 주행 데이터는 글로벌 기업의 0.1% 수준에 그치는 실정이다.
중국도 전기차 보급 확대, 물류 수요 증가, 정책 지원 등 3대 동력을 바탕으로 L2→L3+ 전환 및 로보택시·물류차 상용화를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
기사 원문 확인
https://www.koit.co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29993
AKR20250425027900003?input=1195m
https://www.news1.kr/economy/idustry-trade/5764756